4대보험 계산기, 최저임금 기준 실수령액은 얼마일까?



Introduction
월급날만 بفارغ الصبر منتظرًا، هل شعرت بخيبة أمل من الرقم الذي ظهر في حسابك البنكي؟ راتبك الإجمالي قبل خصم الضرائب والمال الفعلي الذي تستلمه، أي صافي راتبك، لماذا يوجد فرق كبير بينهما؟ السبب يكمن في “التأمينات الأربعة” والضرائب التي يتم خصمها من راتبك. بالنسبة للموظفين الجدد الذين يخطون خطواتهم الأولى في المجتمع أو حتى الموظفين ذوي الخبرة الذين ينتقلون إلى وظيفة جديدة، فإن حساب صافي الراتب هذا دائمًا ما يكون محيرًا ومربكًا.

الملخص الرئيسي
يتم تحديد صافي الراتب الشهري على أساس الحد الأدنى للأجور بعد خصم التأمينات الاجتماعية الأربعة وضريبة الدخل.
تختلف قيمة الخصم وفقًا لمعدلات التأمين الوطني، التأمين الصحي، وتأمين العمل، بينما يتحمل صاحب العمل كامل تكلفة تأمين حوادث العمل.
باستخدام حاسبة التأمينات الاجتماعية الأربعة، يمكنك التحقق بسهولة من صافي راتبك الشهري دون الحاجة إلى حسابات معقدة.



4대보험, 도대체 정체가 뭐길래
4대보험은 국가가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만든 최소한의 사회안전망입니다. 근로자라면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사회보험으로,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네 가지로 구성됩니다. 각 보험은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의 삶에 꼭 필요한 보장을 제공합니다.



국민연금 노령, 장애, 사망 등의 위험에 대비하여 연금을 지급함으로써 국민의 생활 안정과 복지 증진에 기여합니다.
건강보험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고액의 진료비 부담을 덜어주고,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고용보험 실직했을 때 실업급여를 지급하여 생활 안정을 돕고, 재취업을 위한 직업 능력 개발 훈련 등을 지원합니다.
산재보험 업무상 재해를 입은 근로자와 그 가족을 보호하기 위한 보험으로, 치료비, 휴업급여, 장해급여 등을 지급합니다. 사업주가 전액 부담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4대보험은 근로자와 사업주가 함께 부담금을 납부하며, 안정적인 사회를 만들어가는 중요한 기반이 됩니다.



내 월급에서 얼마나 빠져나갈까 4대보험 공제액 계산법
매달 월급명세서를 볼 때마다 가장 궁금한 것이 바로 ‘공제액’ 항목일 것입니다. 세전 월급에서 4대보험료와 소득세, 지방소득세가 빠져나가고 남은 금액이 우리가 실제로 받는 ‘세후 월급’, 즉 실수령액이 됩니다. 그렇다면 이 공제액은 어떻게 계산될까요?

핵심은 ‘보수월액’과 각 보험의 ‘요율’에 있습니다. 보수월액은 비과세 소득을 제외한 월급으로, 4대보험료 산정의 기준이 됩니다. 대표적인 비과세 항목으로는 식대가 있으며, 월 2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 적용되는 4대보험 요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구분 | 합계 | 근로자 부담 | 사업주 부담 |
| :— | :— | :— | :— |
| 국민연금 | 9.0% | 4.5% | 4.5% |
| 건강보험 | 7.09% | 3.545% | 3.545% |
| 장기요양보험 | 건강보험료의 12.95% | 건강보험료의 6.475% | 건강보험료의 6.475% |
| 고용보험 | 1.8% | 0.9% | 0.9% (+@) |
| 산재보험 | 업종별 상이 | – | 100% 부담 |

고용보험의 경우, 사업주는 근로자 부담금 외에 고용안정 및 직업능력개발사업 보험료를 추가로 부담합니다.
산재보험 요율은 사업장의 업종별 위험도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며, 사업주가 전액을 부담합니다.



이 요율을 기준으로 각 보험료가 계산되어 월급에서 공제됩니다.

최저임금 기준 월급, 내 통장에 들어오는 실제 금액은
최저임금은 근로자의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그렇다면 최저임금을 받는 직장인의 실수령액은 과연 얼마일까요?

최저시급을 기준으로 월급을 계산할 때는 보통 주 40시간 근무, 주 5일 근무를 기준으로 합니다. 이때 주휴수당을 포함하여 월 209시간으로 계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최저시급이 10,030원이라고 가정하고 계산해 보겠습니다.

1. 세전 월급 (과세 대상 소득) 계산
10,030원 X 209시간 = 2,096,270원
만약 비과세 식대 20만 원이 포함된 연봉 계약이라면, 과세 대상 소득은 1,896,270원이 됩니다. 여기서는 편의상 비과세 소득이 없다고 가정하고 계산합니다.

2. 4대보험 공제액 계산
국민연금 (4.5%) 2,096,270원 X 4.5% = 94,330원
건강보험 (3.545%) 2,096,270원 X 3.545% = 74,310원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6.475%) 74,310원 X 12.95% X 50% = 4,810원 (소수점 절사)
고용보험 (0.9%) 2,096,270원 X 0.9% = 18,860원

3.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계산
소득세는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를 기준으로 부양가족 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부양가족이 본인 1명인 경우, 월 급여 210만 원 구간의 소득세는 약 30,530원, 지방소득세(소득세의 10%)는 3,050원입니다.

4. 최종 실수령액 계산
세전 월급: 2,096,270원
총 공제액 합계: 94,330원 (국민) + 74,310원 (건강) + 4,810원 (장기요양) + 18,860원 (고용) + 30,530원 (소득세) + 3,050원 (지방소득세) = 225,890원
실수령액: 2,096,270원 – 225,890원 = 1,870,380원

이처럼 최저임금 기준 세전 월급은 약 210만 원이지만, 각종 공제액을 제외하면 실수령액은 약 187만 원 정도가 됩니다. 이는 부양가족 수나 비과세 항목 유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머리 아픈 계산은 이제 그만 간편 4대보험 계산기 활용 꿀팁
위와 같은 계산 과정이 복잡하게 느껴진다면 ‘4대보험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국민연금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각 기관 홈페이지나 4대사회보험정보연계센터에서 제공하는 모의계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네이버나 사람인, 잡코리아와 같은 포털 사이트 및 채용 플랫폼에서도 간편 계산 서비스를 제공하여 누구나 쉽게 자신의 연봉과 월급에 대한 실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동 계산기를 사용할 때는 다음 정보만 정확히 입력하면 됩니다.

연봉 또는 월급 (세전 금액)
비과세액 (예: 식대 20만 원)
부양가족 수 (본인 포함)
20세 이하 자녀 수

이 정보들을 입력하면 국민연금부터 소득세, 지방소득세까지의 총 공제액과 함께 세후 예상 월급을 한눈에 보여주어 연봉 협상이나 이직 시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프리랜서부터 신입사원까지 알아두면 쓸모있는 추가 정보
4대보험과 실수령액 계산은 모든 근로자에게 중요하지만, 고용 형태나 상황에 따라 알아두어야 할 추가 정보들이 있습니다.

프리랜서 및 개인사업자
프리랜서는 보통 근로자가 아닌 사업소득자로 분류되어 4대보험 직장가입자가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 대신 소득의 3.3%를 사업소득세로 원천징수합니다. 이들은 건강보험과 국민연금에 지역가입자로 별도 가입해야 할 수 있습니다.

5인 미만 사업장 근로자
직원 수가 10명 미만이고, 근로자의 월평균보수가 270만 원 미만인 소규모 사업장의 경우,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사업’을 통해 고용보험과 국민연금 보험료의 80%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사업주와 근로자 모두에게 큰 혜택이므로, 5인 미만 사업장에 근무하거나 취업할 예정이라면 해당 지원금 제도를 꼭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아르바이트 및 일용직 근로자
아르바이트나 일용직 근로자라도 월 60시간 이상 근무하거나 1개월 이상 계속 근무하는 경우에는 4대보험 의무가입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단기 근로라고 해서 무조건 가입 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은 아니므로, 자신의 근로 조건을 꼼꼼히 따져보고 권리를 챙겨야 합니다.

신입사원 및 이직 준비자
이제 막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신입사원이나 새로운 직장을 찾는 이직 준비자에게 연봉 협상은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때 단순히 세전 연봉 금액만 볼 것이 아니라, 4대보험과 세금을 공제한 후의 실수령액을 미리 계산해보는 것이 현명합니다. 예상 실수령액을 파악하고 협상에 임해야 자신의 실제 소득을 정확히 알고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